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14

경상수지 적자가 왜 문제? 우리나라의 경상수지가 외환위기 이후 10년 동안 흑자를 보이다 올해 적자로 전환될 것으로 보이면서 이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 도대체 경상수지가 무엇이고 경상수지 적자가 우리 경제에 어떤 영향을 미치길래 사람들이 이렇게 걱정을 하는 걸까요? 경상수지가 뭐죠? 경상수지는 상품 수출과 상품 수입의 차이인 상품수지에다 해외여행, 특허권 사용료 등을 포함하는 서비스수지, 채권이나 주식투자에서 벌어들이고 지급하는 배당·이자 등을 기록하는 소득수지, 외국 친척에게 송금하는 돈 등을 계상하는 경상이전수지를 포함한 금액을 말합니다. 우리나라는 올해 들어 8월까지 화공품, 선박, 반도체, 자동차 등을 3,003억달러 수출하고 원유, 기계, 철강재 등을 2,984억달러 수입하여 19억달러의 상품수지 흑자를.. 2009. 10. 21.
유동성이 왜 급증하 최근 시중 유동성이 빠른 속도로 늘어나면서 이에 따른 부작용에 대한 우려가 높아지고 있습니다. 오늘은 유동성이란 무엇이며 유동성이 왜 급증하고 있는지 그리고 유동성이 지나치게 팽창하면 어떤 문제가 발생하는지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유동성이 뭐죠? 사전적으로 유동성이란 어떤 자산을 필요한 시기에 손실 없이 현금으로 얼마나 쉽게 바꿀 수 있는지의 정도를 의미합니다. 하지만 일반적으로 신문이나 방송에서 언급하는 유동성은 경제 내에 유통되고 있는 돈의 양, 즉 통화량을 의미합니다. 여기서 통화란 지폐와 동전으로 구성되는 현금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종류의 금융자산을 포함하기도 합니다. 이는 현금 이외의 금융자산이라도 현금으로 바꿀 수 있거나 현금을 대신하여 일상적인 거래에 사용할 수 있기 때문이지요. 예를 들어 .. 2009. 10. 21.
정보비대칭 - 정보비대칭은 정보를 많이 가진 사람과 적게 가진 사람이 나타나는 현상을 말한다. - 정보비대칭이 발생되면 정보를 많이 가진 사람이 늘 돈을 따게 된다. 정보가 비대칭구조를 이루고 있다는 것은 정보가 모든 이해관계자들에게 골고루 전달되는 것이 아니고 특정인은 정보를 많이 갖게 되고 다른 사람들은 정보를 적게 가지게 되는 상황을 말한다. 이런 일이 벌어지게 되면 대부분의 경우 정보를 많이 가진 사람이 정보를 적게 가진 사람으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는 기회가 많이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일반적으로 정보의 비대칭현상을 설명하는 사람들이 주로 중고차매매를 예로 들고 있는데 중고차시장에서의 정보비대칭이 어떤 문제를 일으키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정보가 대칭적이지 못할 때 나타나는 문제점들을 살펴보기로 하자. - 중.. 2009. 10. 21.
김제동 강연-사람이 사람에게 혹시 제동씨가 짤린 이유가 이런 내용들 때문이 아닐까? 아래 내용은 모 장소에서 지난 8일 날 있었던 김제동님의 강연 내용이다. 먹고 살기 위해서 일어 나는 것은 폭동이 아니고 절규다 국민은 계몽과 협박의 대상이 아니라 희망을 줘서 같이 살아갈 대상이다. 그게 상식이다. 문을 열고 세상밖으로 발을 디딜때 그때 유머는 발생한다. 유머는 인간성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성장 동맥입니다. 웃지 않는 사회는 반드시 병들고 반드시 무너지게 되어있다. '오렌지, 어렌지 발음의 문제가 아닙니다' 모국어를 사유 할 수 있어야 한다. 내나라 내 땅에서 영어를 잘 할 수 있는 것은 자랑이 될수 있지만 못하는 것은 수치가 되어서는 안된다. 모국어를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박탈 하면 안된다. 어떤 많은 사람들이 높은 곳에 올라가.. 2009. 10. 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