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314

칸트의 도덕철학의 논리적 구성과 들뢰즈․가따리의 비판적 계승 - 정언, 가언, 선언 논리적 구도와 오이디푸스 삼각형의 구성을 중심으로 2007년 1월 10일 동국대학원 박사과정 신 승철 서론 1. 칸트의 도덕철학의 논리적 구성 1) 정언 명법, 가언명법, 선언명법의 논리적 구성론 2) 홉스와 칸트의 정언명법의 차이 3) 자유와 자연의 이분법에서 정언명법과 가언명법의 구성 4) 선언명법의 발견과 삼분법으로의 전화 2. 들뢰즈․가따리의 칸트 도덕철학의 에서의 계승발전 1) 선언명법에서 생산의 연결적 종합으로 2) 가언명법에서 등록의 이접적 종합으로 3) 정언명법에서 소비의 연접적 종합으로 4) 세 종합, 오이디푸스 삼각형에 대한 거부에 따른 논리적 구도의 변경 3. 들뢰즈․가따리의 칸트 도덕철학의 에서의 계승발전 1) 선언명법에서 기관 없는 신체(자율적 신체)로 2.. 2009. 11. 30.
"리눅스"로 읽는 맑스의 『자본론』 "리눅스"로 읽는 맑스의 『자본론』 20세기 맑스는 『자본론』만큼 다채로운 논쟁에 연루된 책도 없다. 식자층은 누구나 한번쯤은 『자본론』을 읽고 사회주의 사상에 대해서 눈뜨게 되었는데, 일제하에서도 많은 조선의 지식인 청년들이 자본론의 요약본을 읽고 사회주의자를 자처했고, 독재시절 대학생들이 이 책을 읽지 않은 사람이 간첩이라고 할 만큼 이 책과 관련된 한국과의 인연은 깊다. 그렇다고 이 유서 깊은 『자본론』을 어렵게 생각할 필요는 없다. 그것은 '돈이 돈을 낳은 세상'인 자본주의를 분석한 책이니까 말이다. 돈을 낳을 수 있는 돈은 아주 특별한 돈이며, 여기서 '자본'이라고 불린다. 마이크로소프트의 유닉스라는 프로그램을 보자. 우리가 쓰는 대부분의 윈도우 환경은 유닉스에 기반하고 있다. 많은 프로그래머들.. 2009. 11. 30.
하버마스 요약 Habermas Reader (1~5장 요약) 신 승 철 1. 공적 영역의 정치적 기능의 변화 문제제기: 사회복지국가라는 조건에서 사회의 재봉건화과정을 어떻게 극복할 것인가? 키 워 드: 재봉건화, 사회복지국가, 조작된 공중성, 비판적 공중성 명 제: 공적 이해와 사적이해의 결합에 따른 사회의 재봉건화과정은 조작된 공중성을 산출 하는데, 비판적 공중성은 이러한 조작된 공중성과 대립하게 된다. 전제(근거) 국가와 사회에 선행하는 사적영역은 국가와 사회의 결합/중간영역을 발생시키며 제헌적인 의미를 바뀌어 왔다. 면제에 의해 간접적으로 더 이상 허용될 수 없는 것은 이제 긍정적인 고려를 필요로 한다. 사회기구는 정치적 영역의 공공장 안에 있는 국가와 관련된 양식속에서 실천적이 된다. 간접적으로 정당을 통해서 .. 2009. 11. 30.
하버마스와 바타이유 - 잉여와 결핍을 둘러싼 논쟁을 중심으로 - 하버마스와 바타이유 - 잉여와 결핍을 둘러싼 논쟁을 중심으로 서문 : 하버마스, 바타이유를 만나다. 1. 계산과 방탕 사이에서 가. 홉스의 결핍이론과 계산이성 나. 바타이유의 잉여이론과 방탕의 테제 다. 하버마스의 의사소통이론에서의 과소, 과잉의 문제 2. 하버마스와 바타이유와의 대화 가. 하버마스의 근대 계몽주의 기획의 연속에서 결핍이론의 계승 나. 바타이유의 방탕이론이 갖고 있는 계몽주의의 종언 다. 근대와 탈근대 논쟁에서 과소, 과잉의 문제 3. 나무 형상으로 본 두 이론 가. 하버마스가 고집하는 바오밥 나무 나. 바타이유가 주장한 수상식물형 나무 다. 두 나무 유형이 갖고 있는 현대인의 정체성 문제 4. 이성인가? 욕망인가? 가. 이성이 욕망의 프로그램으로서 기능할 수 있는 요건 나. 욕망이 이성.. 2009. 11. 30.